성호경 교수 |
|
연구분야 및 실적 주요 논문 "고려 후기 시가의 계통과 형성과정 고찰" 韓國文化 제37집, 서울대학교 奎章閣韓國學硏究院, 2006. 6. 30, pp.1~42(42면) "詞腦歌의 성격과 그 변천에 대한 試論" '시학과언어학' 제10호, 시학과언어학회, 2005. 12. 30, pp.7-30(24면) “한국 고전시가 연구의 향후 과제와 전망”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편, "국어국문학, 미래의 길을 묻다," 태학사, 2005. 8. 31, 243~256면(14면) "해방 60년 국문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고전시가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우리말글 제34집, 우리말글학회, 2005. 8. 30, pp.29-68(40면) 성호경·정종진·윤지영, <한국시가의 語調 유형 분류 試論>, ≪한국시가연구≫, 25, 한국시가학회, 2008. 성호경, <조선 후기 ‘평민가사’의 시적 초점과 창작원리_조선후기 ‘평민시가’의 시적 초점과 통속예술적 성격(1)>,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2009. 성호경, <조선 후기 ‘평민가사’의 시적 초점과 창작원리_조선후기 ‘평민시가’의 시적 초점과 통속예술적 성격(2)>,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2009. 성호경, <<관동별곡>의 형상화와 정철의 신선의식>, ≪고전문학연구≫, 한국고전문학회, 2010. 성호경, <가사 <관동별곡>의 종착지, ‘월송정 부근’과 결말부의 의의>, ≪국문학연구≫, 22, 국문학회, 2010. 저서 국문학 연구 50년(공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한국학술사총서 4; 565면), 도서출판 혜안, 2003. 한국시가의 형식(214면), 새문사, 1999. 韓國詩歌의 類型과 樣式 硏究(474면),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1995(제2판: 1997). 朝鮮前期詩歌論(314면), 새문사, 1988. 성호경, ≪한국시가 연구의 과거와 미래≫, 새문사, 2009. 성호경, ≪조선 후기 문학의 성격≫,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