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우찬제 교수


Email       wujoo@sogang.ac.kr
연구실      J 1107
TEL          02-705-8284
전공분야   문장론 및 수사학

연구분야 및 실적

주요 논문
「생태 안전성에 대한 기억과 프레카리아트의 상상력―듀나의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의료-환경 인문학적 접근」,《문학과환경》제22권 제2호, 문학과환경학회, 2023.6

「기억과 성찰의 변증법―김병익의 『시선의 저편』과『생각의 저편』에 나타난 기억의 수사학」,《비교한국학》제29권 제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8

「'쓰레기-치유'를 위한 문학 윤리」,《문학과환경》제19권 제2호, 문학과환경학회, 2020.6

「'세한도 현상'에 나타난 생태학적 동일성의 지속과 변화」,《문학과환경》제16권 제4호, 문학과환경학회, 2017.12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뿌리의 심연과 접목의 수사학」,《문학과환경》제14권 제2호, 문학과환경학회, 2015.9

「나무의 언어와 '물아일체'의 상상력―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문학과환경》제13권 제2호, 문학과환경학회, 2014.12

「분단 환경과 경계선의 상상력」,《동아연구》제61권, 동아연구소, 2011.8

「포괄의 언어와 복합성의 시학: 이문구의 <관촌수필>론」,《문학과환경》제10권 제1호, 문학과환경학회, 2011.6

「섭생의 정치경제와 생태 윤리」,《문학과환경》제9권 제2호, 문학과환경학회, 2010.12

「생태학적 무의식과 생태 윤리―이청준 소설의 경우―」,《동아연구》제59권, 동아연구소, 2010.8


저서

『생태학적 상상력과 녹색 수사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25.4.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카오스모스 수사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23.12.

『책의 질문』, 열림원, 2023.5.

『애도의 심연』, 문학과지성사, 2018.6.

『나무의 수사학』, 문학과지성사, 2018.2.

『불안의 수사학』, 소명출판, 2012.11.

『서사학 강의 : 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Abbott, H. Porter, 우찬제 외 역문학과지성사, 2010.11.

『4·19와 모더니티』, 우찬제·이광호, 문학과지성사, 2010.4.

『프로테우스의 탈주 : 접속 시대의 상상력』, 문학과지성사, 2010.3.

『고독한 공생 : 밀레니엄 시기 소설 담론』, 문학과지성사, 2003.2.

『타자의 목소리 : 세기말 시간의식과 타자성의 문학』, 문학동네, 1996.12.

『상처와 상징』, 민음사, 1994.10.

『욕망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1993.7.

연구 과제
〈권력과 탈권력의 아이러니: 박정희와 이청준 가로지르기〉(단독, 한국연구재단)